2025 최저임금 계산기 — 시급·월급·연봉 환산 1분 정리

2025 최저임금 계산기 — 시급·월급·연봉 환산 1분 정리

2025 최저임금 계산 대표 이미지

2025년 적용 최저임금은 시급 10,030원입니다. 아래 환산표만 보면 시급→월급(209시간)·연봉(12개월)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. 세전(총액) 기준이며, 각종 수당·공제는 개인별로 달라집니다(정책·일정은 반드시 기관 공지 확인).

많은 분들이 여기서 해결책(꿀팁)을 찾았습니다 👇

빠른 환산표(시급 10,030원 기준)

구분시간금액(원)계산식
일급8시간80,24010,030 × 8
주급40시간401,20010,030 × 40
월급(표준)209시간2,096,27010,030 × 209
연봉(세전)12개월25,155,2402,096,270 × 12
* 월 209시간은 주 40시간+주휴 포함 국내 공용 변환 기준입니다. 실제 급여는 소정근로·유급휴일·수당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근무시간별 월급 간편표

월 근로시간월급(원)참고
80시간802,400파트타임(주 20h 내외)
120시간1,203,600파트타임(주 30h 내외)
160시간1,604,800주 40h, 주휴 미포함 예시
209시간2,096,270표준 환산(주휴 포함)

자주 하는 계산·질문

조건: 주휴수당 포함 여부는?

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소정근로일에 개근하면 주휴가 부여됩니다. 주휴수당 포함 시 월 환산 209시간을 사용합니다(기관 공지 확인).

입금일: 급여일이 달라도 계산은 동일

시급×실근로시간(필요 시 주휴 포함)으로 계산하며, 급여일(입금일)이 매월 말/중순 등 언제든 계산식은 같습니다.

꿀팁: 세후(실수령액) 감 잡는 법

  • 4대보험 가입 시 세후는 대략 세전의 92~96% 수준(연령·가족·지역에 따라 상이)
  • 상여·식대 등은 규정에 따라 최저임금 산입 또는 비산입(해당 규정은 기관 공지 확인)

많은 분들이 여기서 해결책(꿀팁)을 찾았습니다 👇

주의: 계산 시 많이 틀리는 부분

  • 주휴 포함 209시간을 208시간·210시간으로 잘못 적는 경우
  • 주 15시간 미만 근무인데 주휴 포함해 계산하는 오류
  • 연봉 계산 시 13월차 개념을 잘못 적용하는 경우(국내 보편은 12개월)

체크리스트

  • 근로형태 확인: 주 15시간 이상 여부
  • 소정근로·유급휴일 규정 사전 확인
  • 수당(연장·야간·휴일) 포함 조건 확인
  • 근로계약서 내 시급과 계산 근거 명시

많은 분들이 여기서 해결책(꿀팁)을 찾았습니다 👇

출처(공식)

관련 글 보기: 예시 가이드

FAQ

2025년 최저임금 시급은 얼마인가요?
시급 10,030원입니다. 월 환산은 2,096,270원(209시간)입니다.
월급 계산에 209시간을 왜 쓰나요?
주 40시간 소정근로와 주휴를 포함한 국내 표준 환산 기준이 209시간이기 때문입니다.
일급과 주급은 어떻게 계산하나요?
일급은 시급×8시간(예: 80,240원), 주급은 시급×40시간(예: 401,200원)으로 계산합니다.
세후 실수령액은 어떻게 달라지나요?
4대보험·소득세 공제에 따라 달라지며 대략 세전의 92~96% 수준입니다(개인별 상이).

본 문서에는 쿠팡 파트너스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, 이를 통해 일정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.